2025년 재산세 부과일정과 납부 방법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립니다
6월이 지나고 7월 고지서가 도착하면, "도대체 언제까지 내야 하지?" 혼란스러우셨던 적 있으신가요?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다면, 매년 정해진 시기에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1기분, 2기분으로 나뉘고 기준일도 따로 있어서 정확한 일정이 헷갈리기 쉬워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아파트 재산세 납부시기를 실제 달력 기준으로 설명하고,
납부 기한 및 주의사항까지 상세히 안내해드릴게요.
언제 부과되고, 언제까지 납부해야 하나요?
아파트 재산세는 매년 1년에 두 번, 7월과 9월에 나눠서 납부합니다.
이를 각각 1기분, 2기분이라고 부르며, 분할 납부는 주택분에만 해당됩니다.
- 1기분(7월 납부): 주택 재산세의 50% + 건축물분 포함
- 2기분(9월 납부): 나머지 주택 재산세 50% + 토지분
납부 기한은 매년 7월 16일~31일, 9월 16일~30일입니다.
단, 재산세 총액이 2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7월에 전액 납부되며, 9월에는 고지서가 나오지 않아요.
납부 기준일은 6월 1일, 소유자 기준입니다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것이 바로 과세 기준일입니다.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6월 2일에 집을 구입한 경우라면 해당 연도의 재산세 대상자가 아닙니다.
반대로 6월 1일 이전에 소유권 이전 등기를 완료했다면, 고지서가 본인 앞으로 발송됩니다.
이 날짜 하나로 수십만 원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부동산 매매 일정 조율 시 꼭 체크해야 할 핵심 정보입니다.
기한 놓치면 가산금 발생! 알림 서비스 활용하세요
재산세 납부 기한을 놓칠 경우, 3%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납부 금액이 커질수록 가산금 부담도 커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해요.
이러한 실수를 방지하려면 '위택스(wetax.go.kr)' 또는 '정부24'에서 제공하는 납부 알림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납부 기한이 다가오면 문자나 앱 알림으로 안내를 받을 수 있어 깜빡 잊는 일을 줄일 수 있어요.
특히 바쁜 직장인이나 고령의 부모님 세대를 위해 자녀가 대신 납부일정을 관리해드리는 것도 유용한 방법입니다.
1세대 1주택자라면 감면 혜택과 카드 납부 팁도 확인하세요
재산세는 단순히 납부만 하고 끝날 문제가 아닙니다. 1세대 1주택자라면 세율 특례나 세액 감면 혜택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공시가격 3억~6억 원 사이의 아파트에 거주 중인 1세대 1주택자는 10~50%의 세액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위택스를 통한 납부 시 신한카드·국민카드·롯데카드 등 일부 카드사에서
캐시백 또는 포인트 적립 혜택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단, 무이자 혜택은 적용되지 않으며, 일부 카드는 지방세 납부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카드사별 정책을
사전 확인 후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지금 내 재산세 납부 시기, 놓치지 마세요
👉 위택스 또는 정부24에서 납부일 확인하고, 알림 서비스 등록까지 꼭 해두세요.
더 늦기 전에 확인하고, 감면 혜택도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